728x90
반응형

사각형의 끝점이나 두 직선이 만나 각이 생기는 구간을 모깎기 하는 명령어입니다. 각이 생기는 곳은 대부분 가능합니다.

 

모깎기 - F(FILLET)

< 모깎기(F) - 반지름(R) - 반지름의 길이 지정 - 모깎기 할 두선을 선택 >

모깎기의 반지름 수치를 0인 상태에서 모깎기를 실행하면 반지름 값이 0이기 때문에 직각으로 나옵니다. 이 방법으로 두 선을 하나로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. 반지름 200으로 주면 예제 gif처럼 두 선이 연결됩니다.

 

< 각도가 다양한 두 직선의 모깎기 >

 

모깎기가 불가능한 경우

가끔 모깎기를 위해 떨어져 있는 두 선을 클릭하였을 때 [ 두 요소가 동일 평면상에 있지 않습니다. ]라는 문구와 함께 모깎기가 실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 이 경우는 2D에서는 고려요소가 아닌 [고도]라는  옵션 값이 설정되어 있어 모깎기가 불가능한데요 이 고도를 0으로 맞춰주면 모깎기가 실행됩니다.

 

< 고도 값을 0으로 맞추기 >

예제에서 나오는 별도 창은 PROPERTIES 명령어를 사용하거나 Ctrl + 1로 띄울 수 있는 특성 창으로 선택된 객체의 각종 설정 값을 확인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설정창입니다. 이 특성 창을 열고 객체를 선택하면 객체에 맞는 특성 옵션들이 특성 창에 활성화됩니다. 이 특성들 중 고도 값을 0으로 맞춰 같은 고도로 맞춰야 모깎기가 가능합니다.

 

고도가 다른 객체를 Z축으로 확인했을 때

서로 고도가 다른 객체를 Z축에서 확인하면 왜 모깎기가 불가능한지 이해하기 쉽습니다.

< Shift + 마우스 휠 클릭 드래그 >

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캐드 화면에서는 예제의 왼쪽 하단과 같이 X축과 Y축으로만 객체를 표현합니다. 여기서 Shift + 마우스 휠 클릭 드래그를 사용하면 Z축을 볼 수 있습니다. X, Y, Z 축을 동시에 보면 고도가 다른 객체는 서로 어긋나 있기 때문에 모깎기가 불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728x90
반응형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